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조선시대 농업사를 비롯한 사회경제사 연구와 호적에 근거한 역사인구학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농업사 및 인구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기(日記), 추수기(秋收記), 양안(量案)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농법, 농업 생산성, 농업경영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호적, 족보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결혼연령, 재혼율, 출산력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관심주제
조선시대 농업사를 비롯한 사회경제사 연구, 호적에 근거한 역사인구학 연구
약 력
- 1997.06.~2000.04.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학예사
- 2000.05.~2009.08.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조교수, 부교수
- 2009.09.~ 현 재 서울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2019.03.~ 현 재 기초교육원 학부생 연구지원프로그램 운영위원
- 2019.08.~ 현 재 경상북도 문화재위원
- 2021.08.~ 현 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과장
저 서
- 《한국역사입문》2(共著), 풀빛, 1995.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共著), 청년사, 1996.
- 《韓國中世史論叢》(共著) 李樹健敎授停年紀念 論叢刊行委員會, 2000.
- 《단성호적대장연구》(共著),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역사비평사, 2004.
- 《한국사 길잡이》상(共著), 지식산업사, 2008.
- 《조선후기경자양전연구》(共著), 혜안, 2008.
- 《농업과 농민 천하대본의 길》(共著), 두산동아, 2009.
- 《조선시대사》2(共著), 푸른역사. 2015.
- 《A Global History of Historical Demography》(共著), Peter Lang Pub Inc. 2016.
- 《한국 역사인구학연구의 가능성》(共著), 성균관대 출판부. 2016.
- 《19세기 동아시아를 읽는 눈》(共著), 너머북스, 2017.
- 《대한제국의 양전》, 경인문화사, 2018.
- 《中国古文书学研究初编》(共著),上海考籍出版社, 2019.
- 《조선왕조 호적,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위하여》(共著),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논 문
- 〈16세기 在地士族의 農莊經營에 대하여〉《成大史林》7, 1991.
- 〈16세기 양반가의 작개제〉《역사와 현실》9, 1993.
- 〈16세기 양반지주층의 경제활동〉《역사와 현실》16, 1995.
- 〈朝鮮中期 移秧法의 普及과 그 意義〉 《國史館論叢》63, 1995.
- 〈朝鮮後期 地主制하 農民層 動向〉《경제사학》22, 1997.
- 〈조선후기 칠곡 석전 광주 이씨가의 농업경영문서〉《역사와 현실》25, 1997.
- 〈17~18世紀 兩班地主層의 土地所有樣相〉《成大史林》12․13, 1997.
- 〈朝鮮後期 並作制의 樣相〉《大東文化硏究》32, 1997.
- 〈갑술․경자양전의 성격〉《역사와 현실》31, 1999.
- 〈1743~1927年 全羅道 靈巖 南平文氏 門中의 農業經營〉《大東文化硏究》35, 1999.
- 〈경자양전 시기 가경전과 진전파악 실태〉《역사와 현실》36, 2000.
- 〈17~18세기 田畓소유규모의 영세화와 양반층의 대응〉《韓國史學報》9, 2000.
-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惠岡의 田稅制度 認識〉《韓國史學報》11, 2001.
- 〈체득한 경험과 습득한 지식 사이에서 겪은 고민〉《내일을 여는 역사》7, 2001.
- 〈朝鮮後期의 人口把握 實狀과 그 性格〉《大東文化硏究》39, 2001.
- 〈慶尙道 丹城縣 都山面과 生比良面의 19世紀 『戶籍大帳』〉《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十九世紀編(ⅳ)- 3-17, 2001.
- 〈朝鮮後期 戶의 構造와 戶政運營〉《大東文化硏究》40, 2002.
- 〈The Character of the Household Register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Data〉《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2(2), 2002.
-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인구기재 양상〉《역사와 현실》45, 2002.
- 〈韓國史 回顧와 展望(朝鮮前期)〉《歷史學報》175, 2002.
- 〈戶口出入을 통해 본 18세기 戶籍大帳의 編制方式〉《大東文化硏究》42, 2003.
- 〈韓末 日帝下 羅州 朴氏家의 農業經營〉《大東文化硏究》44, 2003.
- 〈朝鮮後期 私奴婢 파악방식〉《歷史學報》181, 2004.
- 〈18세기 초혼과 재혼의 사회사〉《역사와 현실》51, 2004.
- 〈조선시대 農法의 체계적 정리〉《歷史學報》184, 2004.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부재지주지 경영〉《大東文化硏究》49, 2005.
- 〈Eighteenth Century Korean Marriage Customs: The Tansŏng Census Registers〉《CONTINUITY AND CHANGE》20(2), 2005.
- 〈19세기 단성지역의 결혼관행〉《古文書硏究》28, 2006.
- 〈호적대장에 등재된 호구의 성격〉《韓國史硏究》132, 2006.
- 〈독립․사회운동이 전통 동성촌락에 미친 영향〉《大東文化硏究》54, 2006.
-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s Fiscal Policy in the Nineteenth Century〉《KOREA JOURNAL》47(2), 2007.
- 〈대동문화연구원의 사학사적 위치〉《大東文化硏究》60, 2007.
- 〈조선후기~일제시기 傳統同姓村落의 변화상〉《大東文化硏究》62, 2008.
- 〈戶名을 통해 본 19세기 職役과 率下奴婢〉《韓國史硏究》144, 2009.
- 〈18~19세기 제주도 여성의 결혼과 출산〉《大東文化硏究》65, 2009.
- 〈Differing Patterns of Marriage between the City and Villages in the 18th Century Korea: the Case of Taegu Area〉《History of the Family》14(1), 2009.
- 〈Landholding and Fertility in Korea: 1914-1925〉《Journal of Family History》34(3), 2009(2인 공저, 제1저자).
- 〈20세기 전반 동성촌락의 경제적 변화〉《大東文化硏究》67, 2009.
- 〈조선후기 契의 재정운영 양상과 그 성격-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上金里 書契를 중심으로-〉《한국사학보》38, 2010.
- 〈양전과 토지조사사업의 陳田과 ‘主’ 파악〉《규장각》37, 2010.
- 〈Family succession through adoption in the Chosun Dynasty〉《History of the Family》4, 2010.
- 〈18세기 중엽 私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慶尙道安東金溪里義城金氏家사례〉《대동문화연구》75, 2011.
- 〈19세기 어느 성리학자의 家作과 그 지향 -金興洛家 사례〉《한국문화》55, 2011.
- 〈李滉의 家産經營과 治産理財〉《퇴계학보》130, 2011.
- 〈19세기 농민경영의 추이와 지향 -경상도 안동 金溪里 의성김씨가 작인들-〉《한국문화》57, 2012.
- 〈19세기 집약적 농법의 확산과 작물의 다각화-경상도 예천 맛질 박씨가 가작 사례〉《역사비평》101, 2012.
- 〈19세기 회계자료에 담긴 實像과 虛像 -1818~1945년 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수원백씨 門契 자료-〉《고문서연구》43, 2013.
- 〈Tracking individuals and households: longitudinal features of Danseong household register data〉《History of the Family》18, 2013.
- 〈광무양전의 토지파악 방식과 그 의미〉《대동문화연구》84, 2013.
- 〈조선후기 호구정책과 문중형성의 관계-제주도 대정현 하모리 사례-〉《한국문화》67, 2014.
- 〈19세기 공노비 후손들의 삶–제주도 대정현 사례-〉《민족문화연구》69,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 〈광무양전과 조선후기 양전의 관계–경기도 용인 오산리 사례-〉《대동문화연구》9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 〈대한제국 호적과 양안의 상호 관련성〉《한국사론》64, 서울대 국사학과, 2018.
- 〈조선후기 마을 위상과 전세량의 관계〉《한국사론》65, 서울대 국사학과, 2019.
- 〈The Legacy of Disadvantaged Origins: Blocked Social Mobility of Descendants of Nobi Great-Grandfathers in Korea (1765-1894〉《Social Forces》98(2), 2019.
- 〈결부제의 사적 추이〉《대동문화연구》108, 2019.
- 〈조선후기 마을 사람들의 관계 맺기〉《동아문화》57, 2019.
- 〈조선 후기 호적대장 호구차정 원리-언양현 가좌책을 중심으로〉《大東文化硏究》110, 2020.
- 〈19세기 공동납과 마을자치〉《한국문화》95, 2021.
- 〈두레 생성과 해체원인〉《한국문화》97,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