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교수진

박성현 부교수

朴省炫 | Park Sunghyun

전공한국고대사
주소14동 403호
연락처02-880-6178
이메일historypark@snu.ac.kr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2010년 신라의 성과 군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부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2023년 9월부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2020),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2020),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2021),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약 력
  • 2023-현재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
  • 2022-2023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 2014-2022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부교수
  • 2013-2014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2010-20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원, 연구교수
저 서
  • 《신라의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 (共著), 경상북도, 2016
  • 《신라의 사회 구조와 신분제》 (共著), 경상북도, 2016
  •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共著),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 (共著), 역락, 2018
  • 《한국학 자료 읽기》 (共著), 21세기사, 2018
  •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경북문화재단, 2019
  • 《대가야의 악(樂): 가야금과 우륵 12곡》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 《대가야의 도성》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영남대학교 박물관, 2020
역 서
  • 《삼국유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논 문
  • 〈6~8세기 新羅 漢州 「郡縣城」과 그 성격〉 《한국사론》 47,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002.
  • 〈4세기 전후 신라의 토성 축조와 그 목적 -영남 지역 초기 토성의 성격-〉 《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 〈신라 城址 출토 문자 자료의 현황과 분류〉 《목간과 문자》 2, 한국목간학회, 2008.
  • 〈신라 尙·良·康州 郡縣城의 양상과 형성 과정〉 《한국고대사연구》 55, 한국고대사학회, 2009.
  •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역사와 현실》 76, 한국역사연구회, 2010.
  •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 -尙·良·康州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59, 한국고대사학회, 2010.
  • 〈북한강 유역 신라 郡縣의 형성과 구조〉 《한국한문고전학회》 22, 한국한문고전학회, 2011.
  • 〈포항 중성리신라비 비문의 형식과 분쟁의 성격〉 《한국문화》 5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역사와 현실》 82, 한국역사연구회, 2011.
  • 〈신라 통일기 州·小京의 성곽과 그 활용 -漢山州와 國原小京을 중심으로-〉 《한국성곽학보》 21, 한국성곽학회, 2012.
  • 〈신라 郡-城·村制의 특징과 郡縣制로의 전환〉 《한국사연구》 163, 한국사연구회, 2013.
  • 〈박정희 정권의 ‘화랑도(花郞道)’ 교육 -내용의 연원과 관철의 방식-〉 《역사와 현실》 96, 한국역사연구회, 2015.
  • 〈『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79, 한국고대사학회, 2015.
  • 〈삼국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와 물자 이동 -押梁郡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54, 백제문화연구소, 2016.
  • 〈통일신라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 개편〉 《백제문화》 56, 백제문화연구소, 2017.
  • 〈신라 6부의 시기적 변천과 기본 성격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89, 한국고대사학회, 2018.
  • 〈월성 해자 목간으로 본 신라의 왕경〉 《목간과 문자》 20, 한국목간학회, 2018.
  • 〈신라 왕경 6부의 경계에 대한 연구〉 《대구사학》 134, 대구사학회, 2019.
  • 〈신라 문소군, 숭선군의 구조와 군현 편성 원리〉 《한국학논집》 74,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 《역사비평》 127, 역사비평사, 2019.
  • 〈6~8세기 신라 동북 경계의 변천과 구조〉 《한국학논집》 7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 《한국상고사학보》 107, 한국상고사학보, 2020.
  •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 《한국고대사연구》 97, 한국고대사학회, 2020.
  • 〈5~6세기 신라 팔거리(八居里)의 지역 집단과 성 -구암동고분군·팔거산성의 성격과 관련하여-〉 《중앙사론》 53,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 《한국학논집》 8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 〈신라의 ‘남·북 한산성’ 축조와 경영〉 《역사문화연구》 79,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 〈고대사학에서 고대학으로〉 《역사학보》 251, 역사학회, 2021.
  •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21, 한국역사연구회, 2021.
  • 〈한국사의 의미에 비추어 본 현행 교육과정 고대사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대구사학》 147, 대구사학회, 2022.
  • 〈문경 고모산성의 역사적 가치〉 《한국성곽학보》 27, 한국성곽학회, 2022.
  • 〈고구려의 충주 지역 진출 시기와 경로〉 《중앙사론》 57,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 〈신라 상주 및 화령군의 공간 구조 복원〉 《한국고대사연구》 108, 한국고대사학회, 2022.
  • 〈신라 소경의 기능과 공간 구조〉 《대구사학》 151, 대구사학회, 2023.
서 평
  • 〈조선과 다른 고려의 읍치를 말하다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한국중세사연구》 43, 한국중세사학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