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영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고고미술사학 부전공)를 졸업하고 같은 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 고고부에서 학예연구사로 근무하고, 동아대학교 사학과에서 전임강사,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조교수, 부교수, 교수로 근무하고 부속박물관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한국 고대의 국가 형성과 사회구조, 무덤과 취락, 유라시아 교류 등에 걸쳐 있다. 백제 왕성인 서울 풍납토성의 […]

고태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림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강의를 담당하고 조선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HK연구교수를 역임하였으며, 2020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분야는 한국근현대사이다. 특히 식민지 개발과 그 유산 문제, 20세기 한국의 생태환경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사회사, 생태환경사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약 력 2015.10.~   현 재   한국생태환경사학회 총무이사 2019.09.~2020.02. 조선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

존 P. 디모이아

I work on EASTM, especially the diverse collection of practices falling under the descriptive label “Korean medicine” (c. 1945-present), encompassing both traditional (TKM / 한의학)) and biomedicine (서양의학) as practice; and also have a growing interest in doing comparative work with Singapore, Taiwan, North Korea, and Japan for the period, 1945-present. At NUS, our 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