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나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사회사로 석사학위를, 한국 현대 문화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 감성, 서사를 키워드로 근현대 사회문화의 역사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문화 현장의 문제의식을 학문적 의제로 전환하고 학문적 의제를 문화 기획으로 확산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연구분야는 한국 근현대 사회문화사, 남북문화 비교, 공공역사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

박성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2010년 신라의 성과 군현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부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2023년 9월부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2020),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2020),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2021),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

허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서울여대, 한국방송통신대 등에 출강했으며, 일본 도쿄대학에서 외국인연구원으로 있었다.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인문한국(HK)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재직 중이다. ‘역사 속의 인간’이라는 전통적인 주제를 지식인에 대한 사상사적 접근,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해외 이주민에 대한 관심 등 세 방면에서 탐구해왔다. 향후 종교와 정치의 관계, 한국 근현대사학사 등에 […]

정용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료의 확대를 통한 역사 서술 주체의 확장, 역사 해석의 다양성 확보에 관심이 많다. 사회적 소통의 수단이자 에고도큐먼트인 편지 자료를 활용해 8·15 이후 3년 동안 한국인들이 겪은 해방과 미 점령의 역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약 력 1986.09.~1997.05. 단국대학교 […]

정요근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과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조선 초 역로망과 역제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시대 지방사회와 지방제도, 그리고 전근대시기 역사지리 전반에 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연구 분야 고려시대 지방제도 및 지방사회, 한국 역사지리 및 역사 GIS 약 력 2008.09.~2009.08.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책임연구원 2009.09.~2010.0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이동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1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미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냉전사, 경제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사, 의료사, 남북한관계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약 력 2004.7.~2007.6. 해군사관학교 사회인문학처 전임강사 2010.1.~2010.8. Johns Hopkins Univ. SAIS Visiting Fellow 2011.5.~2019.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 연구원 2019.3.~2020.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역사문화원 연구교수 2020.10.~2021.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

문중양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에서 통계학과 컴퓨터사이언스를 공부한 후, 대학원에서 서양과학사와 한국과학사를 공부했다. ‘조선후기의 수리학(水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줄곧 조선후기 서구과학과 전통과학의 만남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우주론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성취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처음에는 18세기 영·정조대의 과학 활동 및 사대부 지식인들의 과학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했으나, 조선 초기 세종대 과학의 성취에도 관심이 많으며, 요즘에는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과학활동에 연구가 집중되고 […]

남동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원효에 대한 사상사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문화재전문위원을 지냈다.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고중세 불교사 전문가이다. 약 력 2000.03.~2009.02.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2001.05.~   현 재   한국사상사학회 이사  2005.05.~2007.05.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2009.01.~2010.12. 역사학회 총무이사  2009.03.~   현 재   서울대학교 부교수, 교수 2015.01.~2016.12.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2016.10.~2018.09. 서울대학교 평의원 2017.08.~   현 […]

김경숙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 동대학원에서 조선 후기 산송과 사회 갈등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책임·객원연구원, 조선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문서와 일기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회 문제와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양상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청원 · 소송 문서에 나타나는 사람들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약 […]

김건태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조선시대 농업사를 비롯한 사회경제사 연구와 호적에 근거한 역사인구학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농업사 및 인구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기(日記), 추수기(秋收記), 양안(量案)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농법, 농업 생산성, 농업경영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호적, 족보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결혼연령, 재혼율, 출산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