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9.316 한국사회경제사
-
- 학기 2020-2
- 교시 월(15:30~18:20)
- 강의실 009-110
- 교수 김건태
- 날짜2020-12-18 12:27:50
- 조회수373
교과목의 개요
본 수업의 목표는 한국의 사회․경제상을 이해는 하는 데 있다. 본 수업에서는 전근대 사회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근대사회와 비교되는 특성으로서의 전근대사회의 구조를 가족과 농촌사회라는 두 가지 핵심 주제에 입각해서 논의를 진행한다.
강좌키워드
사회경제, 빅데이터
강의 계획 및 일정
1주 9/7 강의안내, 선사시대 사람들
고고학 발굴성과를 토대로 선사시대 사람들의 주거와 생활에 대해 살펴본다.
2주 9/14 선사시대 사회경제
국가출현 이전사회의 생활단위와 지배체제에 대해 살펴본다.
3주 9/21 통일신라의 사회경제
신라 촌락문서를 중심으로 신라 촌락문서 성격, 촌락 범위, 인구, 토지, 세금징수와 관련된 烟의 종류와 성격, 奴婢 문제 등에 대해 살펴본다.
4주 9/28 고려시대 가족제도와 토지제도
1. 토지소유구조에 대한 이해, 전시과 이전의 토지제도, 始定田柴科(景宗 元年, 976), 改定田柴科(穆宗 원년 12월, 998년), 更定兩班田柴科(문종 30년, 1076년), 전시과의 운영, 柴地, 전시과 체제하의 公田과 私田, 租率문제 등에 대해 살펴본다.
2. 고려시대 가족구성에 대한 견해, 호구단자, 準戶口, 戶籍 등에 보이는 가족, [高麗史]에서 보이는 가족, 率壻의 의미, 조선 초 실록과 李奎報의 글, 預壻婚, 혼인형태, 성씨와 계보관념, 부변ㆍ모변과 양측적 계보관계, 촌수와 '나'를 기준으로 한 친속 문제 등에 대해 살펴본다.
5주 10/5 조선전기의 신분구조와 가족제도
1. 조선전기 신분구조에 대한 여러 견해, 조선시대 신분제 개념에 대한 여러 가지 이해, 조선시대 양반의 개념에 대한 여러 이해, 신분제 폐기와 근대화의 관계에 대한 여러 이해, 비교사적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신분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 등에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2. 동성혼인, 一夫多妻制, 혼인 후 거주규칙, 부녀자의 재혼, 조상전래의 재산에 대한 인식, <분재기>에 나타난 자녀의 호칭, 노비 상속, 토지상속, 제사 상속, 양자제도, 족보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6주 10/12 16세기 국역체제의 해체와 노비제의 발달
1. 재정의 이원화, 중앙재정, 전세, 공물, 진상, 환곡, 요역, 국역, 호수와 봉족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2. 비교사적 관점에서 본 노비의 성격에 대한 이해, 노비인구, 노비의 가족생활, 노비가족 해체, 조선전기 노비와 上典의 관계, 조선후기 노비와 上典의 관계, 상전에 대한 의무, 전세 납부, 호세 및 호역 납부, 국가의 사노비 파악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7주 10/19 조선전기 사족층의 경제 기반, 조선중기 영농기술의 발달
1. 노비와 토지 집적, 지주와 작인의 권리, 농장 구조, 노비와 作介, 지주와 가작, 비예속인과 병작, 농장경영형태의 변화 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2. 15세기 논농사, 15세기 밭농사, 16-17세기 이앙법의 일반화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8주 10/26 중간고사
9주 11/2 17세기 국제무역과 화폐발행, 조선후기 상업의 발달
1. 對外貿易과 상평통보 발행의 연관성에 대해 살핀다.
2. 市廛體制의 재편, 場市의 발달과 行商, 浦口商業과 客主의 성장, 특권적 상업 등을 다룬다.
10주 11/9 조선후기 양전과 부세제도
1. 양안의 성격에 대해 살펴본다.
2. 조선후기 부세제도의 변화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11주 11/16 호적의 이해, 조선후기의 출생, 결혼, 사망
1. 『經國大典』 禮典 ‘戶口式, 조선시대 주소와 근대 주소, 조선시대인의 자연과 사물 인식, 호의 대표자, 조선시대 호적과 근대 호적의 가계기록, 호적대장 인구등재와 관련된 법률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2. 출생시기, 결혼과정, 초혼연령, 남여 재혼, 결혼식을 올리지 않은 부부 , 초산, 사망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10주 11/9
12주 11/23
조선후기의 가족제도, 조선후기 동성촌락의 발달
1. 조선후기 가족사 자료, 부계가족제의 정착, 양자제도의 확산, 譜學의 발달, 양자범위의 확산, 족보의 기능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2. 동성촌락의 형성, 동성집단의 갈등과 대립, 양반 동성촌락과 문중, 문중의 형성시기와 원인, 문중의 종류, 문중 재산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13주 11/30 19세기 농민의 지향과 공동납
1. 19세기 농법의 발전방향, 소농민의 농업경영, 양반의 지주제 경영, 양반의 일상생활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2. 마을단위의 공동납에 대해 살펴본다.
14주 12/7 광무양안 이해
광무양안의 실상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본다.
15주 12/14 학기말 고사
수강생 참고사항
과제 : 토지제도와 양안연결 작업 결과 제출.
이번 수업에서는 과제의 일환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조선시대 지도 복원을 시도해본다. 조선은 500여 년 동안 꾸준하게 전국의 토지를 조사하고 그 내용을 장부로 만들어 관리해 나갔다. 하지만 개별 필지들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지도는 별도로 제작하지 않았다. 모든 위치 정보가 텍스트화 된 가운데, 그들은 어떻게 한 장의 지도도 없이 각종 행정 처리를 무리없이 수행했을까? 이 질문에 답하고자 조선시대 자료를 지도로 변환해주는 소프트웨어(JigsawMap)가 개발되어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수업의 수강생들 역시 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 텍스트 정보를 2차원적 공간 정보로 재현해보면서, 연구자로서 나름의 문제의식을 키우고 연구 방법을 체득해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평가방법
출석: 20, 과제: 20, 중간: 30, 기말: 30, 합계: 100
수업일수의 1/3을 초과하여 결석하면 성적은 "F" 또는 "U"가 됨(담당교수가 불가피한 결석으로 인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