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 발표자 | 제목 | 일자 |
---|---|---|---|
29 | 권내현 | 조선후기 하천민 성장의 사회사적 의미 | 2015.12.4. |
28 | 안승택 | 농업기술의 역사인류학 견지에서 본 한국농민사회론 | 2015.11.6. |
27 | 정요근 | 한국사 연구에 있어서 GIS 기법의 활용과 전망 | 2015.10.2. |
26 | 송호정 | 중국 동북지방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최근 고조선의 중심지와 경계 논쟁의 본질 | 2015.9.4. |
25 | 조성산 | 16~17세기 北人 學風의 변화와 事天學으로의 전환 | 2015.6.5. |
24 | 박훈 | 사무라이의 ‘士化’ - 메이지유신을 다시 본다 | 2015.5.1. |
23 | 노관범 | 김택영, 박은식, 신채호, 그리고 사상사 방법론 | 2015.4.3. |
22 | 오승은 | 민족주의 거울의 ‘착시효과’와 왜곡된 집단 자화상 –크로아티아 경우 | 2014.12.5. |
21 | Edward J.Shultz | 고려와 오늘 | 2014.11.7. |
20 | 임종태 | 측우기는 왜 사용되었나? -조선 후기 영·정조 대의 우량 측정과 그 정치적, 이념적 맥락 | 2014.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