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 발표자 | 제목 | 일자 |
---|---|---|---|
59 | 이성호 | 고지형 연구 사례와 의미 | 2020.12.04 |
58 | 정동훈 | 구성된 조공시스템 – 14세기 후반 외교제도의 성립과 그 기원 | 2020.11.13. |
57 | 이희인 | 고려 강도(江都)의 공간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 | 2020.10.16. |
56 | 류준범 | 근대 사회사 연구를 위해 보다 긴 시계열 자료를 만들 수 있을까 : 인구, 토지 | 2020.9.4. |
55 | 이찬우 | 북한상황과 남북관계 | 2019.12.6. |
54 | 이정 | 휴지(休紙) 기술로 다시 만든 조선의 생산과 사회관계 | 2019.11.8. |
53 | 박종진 | 개경연구의 성과와 과제 | 2019.10.11. |
52 | 장신 | 근대 한국학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활용방법 | 2019.7.5. |
51 | 이경구 | 역사학 이후 역사학에 대한 단상 | 2019.6.14. |
50 | 이태주 | '한국형 개발협력'의 역사와 수사 | 2019.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