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과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조선 초 역로망과 역제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시대 지방사회와 지방제도, 그리고 전근대시기 역사지리 전반에 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연구 분야
- 고려시대 지방제도 및 지방사회, 한국 역사지리 및 역사 GIS
약 력
- 2008.09.~2009.08.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책임연구원
- 2009.09.~2010.0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 2010.03.~2018.08.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2014.01.~2019.12. 계간 《내일을 여는 역사》 편집위원
- 2014.05.~2016.12. 한국중세사학회 편집위원장
- 2016.01.~ 현 재 계간 《역사비평》 편집위원
- 2017.04.~ 현 재 재단법인 도봉문화재단 이사
- 2018.01.~2019.12. 한국사연구회 총무이사
- 2018.09.~ 현 재 서울대학교 부교수
- 2020.02.~ 현 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획운영부장
- 2020.03.~ 현 재 사단법인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이사
- 2020.07.~2022.07.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육지원센터장2020.07.~2022.08.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연합전공 동아시아비교인문학 전공주임
- 2020.09.~ 현 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장(교육연구단명: 세계 역사학계를 선도하는 한국사 혁신인재 교육연구단)
- 2021.01.~2022.12. 한국중세사학회 기획연구위원장
- 2021.04.~ 현 재 재단법인 솔벗 이사
- 2022.07.~ 현 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기획부학장
저 서
- 《고려의 황도, 개경》(共著) 창작과비평사, 2002.
- 《고려 500년 서울, 개경의 생활사》(共著) 휴머니스트, 2007.
- 《고려 역사상의 탐색》(共著), 집문당, 2017.
- 《고등학교 역사부도》(共著) 지학사, 2018.
- 《21세기에 다시 보는 고려시대의 역사》(共著) 혜안, 2018.
- 《쉽게 읽는 서울사(고려편)》(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18.
- 《3․1운동 100년, 덕성 100년 – 근화와 차미리사 – 》(共著), 민연, 2019.
- 《고려에서 조선으로: 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共著), 역사비평사, 2019.
- 《중학교 역사부도》(共著) 지학사, 2020.
- 《중학교 역사②》(共著) 지학사, 2020.
- 《땅속에서 찾은 화성의 역사》(共著), 화성시, 2020.
- 《삼국의 쟁탈과 고려 지방사회의 성립》(共著), 화성시, 2020.
- 《조선시대 개성유람기》(共著), 혜안, 2021.
- 《시민의 한국사1 – 전근대편》(共著), 돌베개, 2022.
- 《서울 동의 역사 강북구 제1권》(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22.
- 《서울 동의 역사 도봉구 제1권》(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22.
- 《울진군지 제1권》(共著), 울진군, 2022.
논 문
- 〈高麗前期 驛制의 整備와 22驛道〉《韓國史論》45 , 서울대 국사학과, 2001.
- 〈7~11세기 경기도 북부지역에서의 간선교통로 변천과 ‘長湍渡路’〉《韓國史硏究》 131, 2005.
- 〈고려중·후기 ‘임진도로(臨津度路)’의 부상(浮上)과 그 영향〉《역사와 현실》59, 2006.
- 〈고려전기의 驛屬層과 지방 행정단위로서의 驛〉《진단학보》101, 2007.
- 〈고려 역로망 운영에 대한 원(元)의 개입과 그 의미〉《역사와 현실》64, 2007.
- 〈원간섭기 驛 이용수요의 급증과 그 대책〉《韓國史學報》32, 2008.
- 〈조선초기 驛路網의 전국적 재편 – 교통로의 측면을 중심으로 -〉《朝鮮時代史學報》46, 2008.
- 〈後三國時期 高麗의 남방진출로 분석〉《한국문화》44, 2008.
- 〈고려시대 驛 분포의 지역별 불균등성〉《지역과 역사》24, 2009.
- 〈후삼국시기 고려의 ‘주(州)’․’부(府)’ 분포와 그 설치 의미〉《역사와 현실》73, 2009.
- 〈조선 초기 역(驛) 이용 통제를 위한 법제(法制) 정비의 추이〉《馬事博物館誌》2008, 2009.
- 〈고려시대와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지방사와 지방문화》13-2, 2010.
- 〈여말선초 군현 간 합병ㆍ통합과 新邑治의 입지 경향〉《역사와 현실》80, 2011.
-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 王京과 州治ㆍ小京 간 연결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63, 2011.
- 〈고려~조선전기 전라도 서남해상 島嶼지역의 郡縣 편제와 그 변화〉《도서문화》39, 2012.
- 〈11세기 동여진 해적의 실체와 그 침략 추이〉《史學硏究》107, 2012.
- 〈전남 지역의 고려~조선시대 越境地 분석〉《한국문화》63, 2013.
- 〈GIS 기반 고려시대 역사지도의 제작〉《한국중세사연구》37, 2013.
- 〈고려~조선전기 漕倉의 분포와 입지〉《韓國史學報》57, 2014.
- 〈GIS 기법의 활용을 통한 조선후기 越境地의 복원〉《역사학보》224, 2014.
- 〈교통의 발달과 남경〉《고려시대 사회 경제와 남경(서울 2천년사 9권)》, 2014.
- 〈죽장부곡(竹長部曲)의 흔적을 찾아서〉《내일을 여는 역사》54, 2014.
- 〈청도(淸道) 저 멀리 외진 곳의 밀양(密陽) 땅, 고매부곡(古買部曲)〉《내일을 여는 역사》55, 2014.
- 〈남해도의 옛 중심지 고현면(古縣面)의 역사 유적〉《내일을 여는 역사》56, 2014.
- 〈고흥반도의 옛 고을 유적들을 찾아서〉《내일을 여는 역사》57, 2014.
- 〈도봉구 연혁 기록의 비교 검토와 보정(補正)〉《인문과학연구》19, 덕성여자대학교, 2014.
- 〈고려~조선시대 낙동강 상류 지역의 越境地 분석〉, 《한국문화》71, 2015.
- 〈충남 내포 지역의 조창 터〉《내일을 여는 역사》58, 2015.
- 〈교동도 역사유적의 재발견〉《내일을 여는 역사》59, 2015.
- 〈광복 70주년, 진정한 광복을 위한 희망 찾기〉《내일을 여는 역사》60, 2015.
- 〈거제도, 고려 왕족 몰락의 비운이 깃든 섬〉《내일을 여는 역사》60, 2015.
- 〈거제도 600년, 관아 터 변천의 역사〉《내일을 여는 역사》61, 2015.
- 〈2011 개정 교육과정 기초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및 역사부도 수록 고려시대 역사지도의 분석〉《韓國史硏究》172, 2016.
- 〈고려시대 鄕․部曲의 성격 재검토 -下三道의 향․부곡 주요 밀집 분포 지역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史學硏究》124, 2016.
- 〈진도의 옛 읍치 유적〉《내일을 여는 역사》62, 2016.
- 〈죽령의 남쪽 관문 풍기 일원의 역사 유적〉《내일을 여는 역사》63, 2016.
- 〈돌산현과 방답진, 그리고 돌산군의 유적을 통해 본 돌산도의 역사〉《내일을 여는 역사》64, 2016.
- 〈낙동강 중류 지역의 전통 중심지, 성주읍의 역사 유적〉《내일을 여는 역사》65, 2016.
- 〈The Management of Koryŏ: Local Administration (Kunhyŏn) and Its Operation〉 《Korean Studies》41, 2017.
-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역사비평》120, 2017.
- 〈충청도 월경지 분석에 기초한 고려~조선시대 下三道 월경지의 유형 분류〉《역사와 담론》84, 2017.
- 〈청산되어야 할 적폐, 국수주의 유사 역사학〉《역사와 현실》105, 2017.
- 〈선춘령(先春嶺)과 공험진(公嶮鎭)은 두만강 이북에 있었나?〉《내일을 여는 역사》66, 2017.
- 〈바다를 향해 길게 뻗어 있는 땅, 해제반도와 망운반도〉《내일을 여는 역사》68, 2017.
- 〈2015개정 국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사 내용 분석〉《역사교육연구》31, 2018.
- 〈머나먼, 하지만 반드시 이루어야 하는 적폐 청산의 길〉《내일을 여는 역사》70, 2018.
- 〈박근혜 정부의 비호 아래 진행된 국수주의 유사 역사의 세력 확장〉《내일을 여는 역사》70, 2018.
- 〈고려와 후백제의 마지막 결전지, 구미 태조산 일원〉《내일을 여는 역사》73, 2018.
- 〈경기·인천 천년 고을의 변화와 위상〉《고려왕조와 21세기 코리아 미래 유산》2, 한국중세사학회·경기문화재단·인천문화재단 편, 2019.
- 〈고려∼조선 시대 강원 지역 역 분포와 영서 북부 지역 간선 교통로의 변화〉《江原史學》32, 강원사학회, 2019.
- 〈12~15세기 지방 제도 개편의 전개와 그 역사적 의미 -양광도 지역의 고을 연혁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중세사연구》57, 한국중세사학회, 2019.
- 〈교산 신도시의 개발과 광주(廣州) 천년 역사 유적의 복원〉《내일을 여는 역사》75, 2019.
-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 충청도와 경기도, 강원도 대읍의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중세고고학》6, 2019
- 〈고려시대 문경지역의 주요 교통로와 교통 시설〉《고려시대의 문경》, 문경시, 2019.
- 〈화성 융릉과 건릉 일대에서 수원의 옛 흔적을 찾다〉《내일을 여는 역사》78, 2020.
- 〈고려~조선 시대 院 시설 유적의 특성과 院 시설의 유형 분류〉《사학연구》140, 2020.
- 〈고려~조선시대 화성지역의 교통과 통신망〉《고고문화로 읽는 화성지역의 고려·조선》, 화성시, 2020.
- 〈조선시대 문경지역의 주요 교통로와 교통시설〉《조선시대의 문경》, 문경시, 2020.
- 〈안양사와 안양리를 통한 안양 지역의 역사지리적 이해〉 《안양의 기틀을 다지다, 안양사의 흔적》, 안양문화재단(안양박물관), 2021.
- 〈인문학을 매개로 한 덕성여대 인문과학대학의 지역사회 연구와 협력 활동〉 《덕성100년사》2, 학교법인덕성학원, 2021.
- 〈고려 중~후기 수령관의 증치(增置)와 고을 읍격(邑格) 및 관격(官格) 변화의 역사성-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의 분석을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120, 한국역사연구회, 2021.
- 〈역사 GIS 기반 1910년 기준 면(面) 단위 행정구역의 복원〉(共著)《한국사연구》 197, 한국사연구회, 2022.
- 〈통일신라 시기 왕경(王京)과 한주(漢州) 주치(州治) 간 간선교통로 노선의 고증 복원〉《하남 역사 총서 4》, 하남역사박물관, 2022.
서 평
- 〈‘구조’와 ‘운영체계’의 관점에서 고려시기 지방제도를 복원하다 – 윤경진, 『『高麗史』 地理志의 分析과 補正』, 여유당, 2012 -〉《한국중세사연구》36, 2013.
-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복원에 대한 집념과 열정의 성과물〉《지역과 역사》24, 2014.
- 〈Exposing the Ills of Jingoist History, Review of Hanguk godaesa wa Saiibi yeoksahak [Ancient Korean History and Pseudo-historiography]〉《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14-1, 2017.
결과보고서
- 《동북4구 공동발전 과제발굴》, 서울특별시 연구용역과제(공동연구 연구책임), 2016.4.
- 《고려시대 군현 읍치 및 월경지 연구》한국연구재단 2013년 선정 신진연구자지원사업 결과보고서(단독연구 연구책임), 2016.10.
- 《한반도 남북역사문화협력 중심벨트 개념화 및 구축 연구》, 통일부 연구용역과제(공동연구 연구책임), 2019.9.
- 《역사 GIS DB 구조 통합 모델 연구》 , 국사편찬위원회 연구용역과제(공동연구, 연구책임), 2019.12.
- 《고지도와 역사지도 융복합 서비스 구축》, 민간기관 연구용역, 2020.06.~2020.12.
- 《실크로드의 재조명 II – 실크로드피아를 활용한 디지털 전북학의 새로운 여정》,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산학협력R&D지원사업, 2020.08.~2021.07.
- 《고려역사 남북교류 의제 개발 연구》, 2021년 인천광역시 지방보조금(남북교류협력기금) 지원사업, 2021.04.~2021.11.
- 《고지도와 역사지도 융복합 서비스 구축》, 민간기관 연구용역, 2021.06.~2021.12.
- 《광주·전남지역 삼국~조선시대 역사지명의 위치 고증과 문헌분석 연구》,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연구용역사업, 2021.04.~2022.11.